BACKEND(114)
-
Docker Engine, 제대로 이해하기 (2)
📌 Docker SeriesDocker Engine, 제대로 이해하기 (1) - docker engine deep dive> Docker Engine, 제대로 이해하기 (2) - namespace, cgroupDocker Network, 제대로 이해하기 (1) - libnetworkDocker Network, 제대로 이해하기 (2) - bridge, host, none driversDocker, 제대로 사용하기 - Commands 안녕하세요. 오늘은 Docker Engine, 제대로 이해하기 (1) 에 이어서,Container 기술이 가능한 이유인 리눅스 커널의 namespaces, cgroups에 대해 다루려고 합니다. 해당 포스팅의 목적은 dockerEngine의 내부 구조와 동작원리 등을 최..
2022.01.20 -
Docker Engine, 제대로 이해하기 (1)
📌 Docker Series> Docker Engine, 제대로 이해하기 (1) - docker engine deep diveDocker Engine, 제대로 이해하기 (2) - namespace, cgroupDocker Network, 제대로 이해하기 (1) - libnetworkDocker Network, 제대로 이해하기 (2) - bridge, host, none driversDocker, 제대로 사용하기 - Commands안녕하세요. 오늘은 Docker Engine에 대해 깊게 다루려고 합니다. 이 포스팅의 목적은 dockerEngine의 내부 구조와 동작원리 등을 최대한 자세히 다루는데 있습니다.이 글을 읽는 독자가 Docker image, container 등 기본적인 개념을 이해한다는 가..
2022.01.16 -
RUVVE, Backend.log
안녕하세요! 오늘은 Capstone design 프로젝트였던 Ruvve 개발 후기를 적어볼까 합니다. 기간은 개발을 시작한 기준인 3월부터해서 10월까지 진행했어요. 사용 기술은 Spring Boot를 이용한 Rest API Server, Deep Learning을 이용한 DeepSORT 개체 추적 기술입니다. 저는 팀장으로 기획, 디자인, 백앤드를 담당하여 진행했어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에 담았습니다 ☺️ 지난 포스팅 "Service.log" 은 기획한 서비스 내용과, 진행 과정에 대한 내용을 담았습니다. 이번 두 번째 포스팅인 "Backend.log" 에 개발과 관련된 내용을 담을 예정입니다 😉 | 개발 진행 과정 | Ruvve를 진행할 때 가장 중요하게 여긴 것은 소통과 기록이었습니다. 소통..
2021.12.09 -
RUVVE, Service.log
안녕하세요! 오늘은 Capstone design 프로젝트였던 Ruvve 개발 후기를 적어볼까 합니다. 기간은 개발을 시작한 기준인 3월부터해서 10월까지 진행했어요. 사용 기술은 Spring Boot를 이용한 Rest API Server, Deep Learning을 이용한 DeepSORT 개체추적 기술입니다. 저는 팀장으로 기획, 디자인, 백앤드를 담당하여 진행했어요! 자세한 내용은 아래 포스팅에 담았습니다 ☺️ 이 번 포스팅 "Service.log" 은 기획한 서비스 내용과, 진행 과정에 대한 내용을 담을 예정입니다. 두 번째 포스팅인 "Backend.log" 에 개발과 관련된 내용을 담을 예정입니다 😉 👾 RUVVE. 최근 도로나 인도에 전동 킥보드가 많이 보이고 있지 않나요? 배달로 인한 오토바이의..
2021.12.09 -
HTTP/2, 제대로 이해하기
HTTP? HTTP는 인터넷을 사용해봤다면 누구나 한 번쯤 들어 봤을텐데요. HyperText Transfer Protocol의 약자로, HyperText(링크를 통해 다른 문서로 연결될 수 있는 문서)를 Transfer(전송하는) Protocol(규격이 정해진 규칙 체계)입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웹에서 클라이언트(브라우저)가 웹 서버(httpd, nginx, apache 등)정보를 주고받을 수 있는 프로토콜입니다. 주로 글 위주로 이미지가 포함된 예전의 웹 페이지와는 달리, 이미지의 용량은 매우 커졌고 동영상의 수요와 공급이 급격히 증가하면서 기존의 통신 프로토콜을 변경해야할 필요성을 느끼게 됩니다. 변경 내역을 확인해보면서, HTTP3까지 어떤 것이 변경되고 왜 그렇게 변경되었는지 확인해보는 것이..
2021.11.12 -
RSA, 제대로 이해하기 (1)
안녕하세요. 오늘은 요즘에 딥하게 빠져버린 암호학 중 필수 개념인 RSA (textbook-RSA)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 INDEX ***************** RSA? ✔️ Key Generation ✔️ Key Distribution ✔️ Encryption ✔️ Decryption Effective En/Decryption - square-and-multiply - CRT Attack - CCA - Broadcast attack ******************************************** 📚 RSA? RSA는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공개키 암호 알고리즘입니다. 오랜시간 지속해서 사용하고 있는 아주 중요한 알고리즘이라 꼭..
2021.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