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ACKEND(114)
-
AWS, S3
안녕하세요 ❗️ 오늘은 AWS의 저장소인 S3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INDEX ***************** 🧺 S3❓ 🌈 Storage Class 🌀 S3 Life Cycle ******************************************** 🧺 S3❓ S3는 Simple Storage Service의 약자입니다.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는 'Storage' 서비스이죠. 다양한 옵션과 환경으로 언제 어디서나 내가 원하는 파일을 접근할 수도,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S3는 Bucket이라는 개념으로 데이터 스토리지를 위한 S3의 기본 컨테이너를 설정합니다. S3는 각각의 리전 별로 Bucket을 생성할 수 있기 때문에 자신의 ..
2020.11.08 -
AWS, IAM
안녕하세요❗️ 오늘은 IAM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AWS에 대해 많이, 그리고 자세히 안다고 하지는 못하지만 AWS 서비스들을 사용하면서 빠짐없이 나온 개념이 바로 오늘 다루게될 "IAM"이기 때문입니다. 그럼, 오늘 목차를 확인하고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INDEX ***************** 🔑 IAM❓ 💼 How IAM works ⚖️ Policies ******************************************** ⚖️ IAM ❓ IAM은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의 약자입니다. AWS 리소스와 서비스에 대한 인가를 설정할 수 있습니다. 인증은 "이 사람이라고 주장하는 그 사람이 맞다." 인가는 "인증된 이 ..
2020.11.01 -
AWS Elastic Load Balancing
안녕하세요 〰️ 오늘은 AWS의 서비스 중 하나인 Elastic Load Balancing(이하 ELB)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알아볼 내용은 아래의 목차와 같습니다 〰️ ***************** INDEX ***************** ⚖️ Elastic Load Balancing❓ 💼 ELB 특징 📌 ALB & NLB ******************************************** ⚖️ Elastic Load Balancing❓ 먼저 Load Balancing이라는 의미를 알아보도록 할까요❓ Load Balancing은 '부하 분산'이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서버에 들어오는 부하를 분산하는 것입니다. 예시를 들어보도록 할게요. 하나의 서버에 100만큼의 트래픽(접근)이 오다..
2020.10.25 -
AWS CloudWatch & CloudTrail
안녕하세요 〰️ 오늘은 AWS 중 CloudWatch와 CloudTrail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INDEX ***************** 🔭AWS CloudWatch 📄 AWS CloudTrail ******************************************** 🔭 AWS CloudWatch Amazon CloudWatch는 AWS 리소스와 AWS에서 실시간으로 실행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합니다. CloudWatch를 사용하여 리소스 및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측정할 수 있는 변수인 metrics를 수집하고 추적할 수 있습니다. CloudWatch의 작동 방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 Metrics CloudWatch 페이지에서는 사용 중인 모든..
2020.10.18 -
LINUX, shell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 오늘은 리눅스의 권한 관리하는 법 3부입니다. 원래 특수권한과 같이 발행하려고 했는데, 포스팅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서 따로 분리했습니다 🤣 ***************** INDEX ***************** 🚀 shell❓ 💼 shell 종류 🌷 shell 변경 ******************************************** 🚀 셸❓ 셸은 명령어와 프로그램을 실행할 때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커널과 사용자간의 다리역할을 합니다. 명령어 해석기의 기능이 있어서 명령어를 입력해서 원하는 동작을 하곤하죠.셸은 컴퓨터를 사용했던 우리가 한 번쯤 보거나 사용해 보았을텐데요.검정색 배경에 텍스트만 보여지는 바로 그 창에서 사용하는 인터페이스입니다. 또, 프로그래밍 기능이 ..
2020.10.11 -
LINUX, 사용자 사용량 관리하기
안녕하세요 〰️ 오늘은 리눅스의 권한 관리하는 법 3부입니다. 원래 특수권한과 같이 발행하려고 했는데, 포스팅의 길이가 너무 길어져서 따로 분리했습니다 🤣 ***************** INDEX ***************** [1부] 🚀 권한 관리❓ 💼 소유권(Ownership) 🔑 허가권(Permission) [2부] 👾 특수 권한 [3부] 📀 디스크 쿼터 💼 디스크 쿼터 설정하기 ⚡️ 디스크 쿼터 명령어 ******************************************** 📀 디스크 쿼터 파일 시스템마다 사용자나 그룹이 생성할 수 있는 파일의 용량 및 개수를 제한하는 것입니다. 사용자나 그룹이 가질 수 있는 inode의 수나 할당된 디스크 블록 수를 제한합니다. 보통 블록 단위의 용량..
2020.09.03